-
filter 함수: 특정 원소만 들어 있는 리스트 만들기WORK/개발일지 2023. 1. 7. 20:14
스파르타 코딩 1주차 과정 마지막 숙제
문제 2
filter 함수로 '포도'만 들어 있는 podo_list 리스트 구현해보기
<내가 작성한 코드> let fruit_list = ['사과','감','감','배','포도','포도','딸기', '포도','감','수박','딸기']; let podo_list = fruit_list.filter((value) => value == '포도'); console.log(podo_list); //(3) ['포도', '포도', '포도'] <강사님 코드> let fruit_list = ['사과','감','감','배','포도','포도','딸기', '포도','감','수박','딸기'] let podo_list = fruit_list.filter((f)=>{ return f == '포도' }) console.log(podo_list) //['포도','포도','포도']
오, 같은 문제에 답이 똑같이 나왔는데도 강사님과 나의 코드가 다른게 신기했다!
아는 만큼 보인다고 아직 뭐가 뭔지 하나도 모르겠지만 강사님의 코드와 비교하면서 'return'이란 함수를 다시 리마인드할 수 있었다.
1. 강사님은 이번에도 역시 변수 이름을 'f'라고 간단히 지정하셨다. 나는 'value'라고 지정했다. ❓ value가 딕셔너리의 key의 그 value값을 나타내는 건가? 갑자기 헷갈린다! value라고 변수를 지정해도 되는건가? 2. 내가 구글링해서 작성한 코드는 (value) => value == '포도') 이고, 강사님의 코드는 return f == '포도' 였다. 3. 답은 똑같이 나왔다.
궁금한 점은 강사님께 여쭤보고 업로드를 다시 해야겠다. 일단 너무 처음부터 외우려고 하지말고 천천히 재밌게 즐긴다는 느낌으로 하고 있다.
'WORK > 개발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p 함수: 배열에서 특정 원소 개수 구하기 (0) 2023.01.07 개발 환경 설치하기 (0) 2023.01.07 앱과 리액트 네이티브(React Native) (0) 2023.01.02